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잡다한 TIP

[국민연금] 국민연금 수령 나이 및 예상 수령금액 계산

안녕하세요. 국민연금 수령 나이와 예상 수령금액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장생활을 하시는 분이면 자동으로 소득세, 건강보험, 국민연금 등에 가입이돼서 납부하고 계실 겁니다. 직장인이 아니더라도 지역가입자로 가입하여 내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사실 내라니까 그냥 내고 있는 돈이긴 하지만 나중에 얼마나 받을지 궁금하신 분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국민연금 수령 나이는 원래는 만 60세였는데 얼마 전 65세로 미뤄졌습니다. 몇 년 남지 않으신 분들은 1, 2년 정도 미뤄지게 됐는데 어쨌든 향후 69년생 이후부터는 모두 65세부터 수령이 가능합니다. 현재 공무원 기준으로 정년퇴직이 만 60세인데 공무원연금은 바로 나오는 반면 국민 대부분은 60세 이전에 퇴직하는데 수령 나이가 늦어져 미리 연금을 준비하지 못한 분들은 매우 안타깝게 됐습니다. 점점 노인인구가 증가되는 추세이니 사회적으로 정년이 늘어가야 한다는 것이 맞다고 생각이 듭니다.

 

아래 표는 국민연금 수령 나이 조정표입니다.

 

 

국민연금 수급연령

 

 

이제부터는 1969년생 이후부터는 65세부터 국민연금을 수령하게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기노령연금은 연금을 미리 받기 시작하는 나이인데 국민연금 수령 나이보다 5년 먼저 받을 수 있지만 그 금액이 감액되어 지급되니 꼭 필요하신 분이 아니라면 기다렸다가 받으시는 것이 좋다고 보입니다.

 

 

국민연금 수령 나이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제는 자신의 예상 수령금액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시면 노령연금 예상 월액 표를 이용하여 자신의 국민연금을 대략적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 금액은 현재가치를 기준이므로 나중에 수령 나이에는 여기에 적힌 금액에 물가를 반영하여 지급받게 됩니다. 가입기간 중 기준 소득월액 평균액을 기준으로 금액이 산정되는데 계산법이 있지만 직접 계산하기는 까다로워 대략적인 금액을 표로 확인하고, 정확한 금액은 국민연금공단에서 제공하는 모의계산기를 활용하시면 편리할 것 같습니다. 아래 그림은 노령연금 예상 월액 표인데 소득 월액 평균이 300만 원일 경우 30년을 납입했다면 797,820원을 수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국민연금 예상금액

 

 

정확한 자신의 연금을 확인하는 방법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따라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의 우측 편에 노후준비(내연급)을 클릭해 들어가줍니다.

 

 

국민연금 예상금액

 

여기에서 국민연금 예상 연금 조회를 클릭해서 들어가시면 현재가치로 얼마를 수령하실 수 있는지 조회가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예상 연금 조회는 공인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하셔야 내역을 볼 수 있으니 이용하시고자 하신 분들은 공인인증서를 미리 준비해주셔야 합니다.

 

 

국민연금 예상금액

 

 

여기까지 국민연금의 수령 나이와 예상 수령금액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국민연금은 공적연금이다 보니 국가가 망하지 않는 한 안정성은 보장되고, 사적연금과는 수령액도 큰 차이가 있습니다. 사적연금보다는 국민연금이 훨씬 월등하죠. 하지만 국민연금 기금을 가지고 장난치는 일이 많아 불신의 아이콘이 되어버린 점은 안타깝지만 우리의 지속적인 관심으로 바로잡으면 수익성도 훨씬 높아지고 받을 수 있을지 걱정할 필요가 없는 국민연금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